프랜차이즈니까 세금은 본사가 다 해주는 거 아니에요?
처음 프랜차이즈 가게를 운영하면서 가장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심지어 어떤 분들은 “본사에서 매출도 관리하니까, 세금도 본사 몫이지 않나요?” 하고 생각하시더라고요.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더라도, 가맹점은 별도의 독립 사업자이며,
매출 신고, 세금 납부, 부가세 및 종합소득세 신고는 전적으로 사장님 책임이에요.
오늘은 프랜차이즈 사업을 운영 중이거나 준비 중인 분들을 위해
본사와 가맹점 간의 세금 책임 구조,
로열티, 재료비, 매출 신고 실무,
그리고 세무사 없이 준비할 수 있는 핵심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프랜차이즈도 ‘내 사업’입니다 – 세금은 내가 냅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본사의 브랜드, 메뉴, 운영 매뉴얼을 사용하는 것일 뿐,
사업자등록은 ‘가맹점주의 이름’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프랜차이즈를 하더라도 가맹점주는 100% 독립 사업자로 간주되고,
매출 신고, 부가세 신고, 종합소득세 납부는 모두 가맹점주 몫입니다.
📌 가맹점주는 본사와 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 입니다.
세금 구조 요약 – 누가 뭘 부담할까?
상호 및 브랜드 | ✔️ | ❌ |
로열티 수익 신고 | ✔️ (본사 수익) | ❌ |
재료 구입비용 | ❌ | ✔️ (가맹점 구매) |
매출 신고 | ❌ | ✔️ |
부가가치세 신고 | ❌ | ✔️ |
종합소득세 신고 | ❌ | ✔️ |
💡 본사는 로열티, 물품 공급 등으로 생긴 수익에 대해 신고하고,
가맹점은 매장 운영을 통해 발생한 매출에 대해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실제 사례 – 햄버거 프랜차이즈 운영자 A사장님의 경험
경기도에서 햄버거 프랜차이즈를 운영 중인 A사장님은
처음엔 POS와 정산 시스템을 본사에서 전부 관리하니까, 세금도 알아서 처리되는 줄 알았어요.
그런데 부가세 신고 시점에 세무사님이
“사장님, 지난 반기 POS 매출이 신고된 매출보다 300만 원이 적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문제가 생겼죠.
원인은 본사 POS 시스템엔 등록된 현금 매출을 일부 누락하거나, 쿠폰 공제를 가맹점주가 인지하지 못한 것.
결국 A사장님은 POS 매출, 재료비 세금계산서, 로열티 정산 내역까지 다 취합해서
세무신고를 따로 준비해야 했습니다.
지금은 본사와 별개로 매달 매출, 지출, 로열티 자료를 정리해 세무사에게 직접 전달한다고 해요.
실전 팁 – 프랜차이즈 사장님이 꼭 챙겨야 할 세무 자료
- 본사 정산서 (로열티 내역 포함)
- 매월 POS 총매출 데이터
- 재료 공급사 세금계산서
- 기타 비용(광고, 인건비, 장비 구입 등) 세금계산서 정리
- 카드매출, 배달앱 정산서 따로 정리
✅ 매출은 본사 시스템을 참고하되, 실제 신고는 내가 책임지고 준비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프랜차이즈면 세금계산서도 본사에서 발행하나요?
A. 아니요. 고객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주체는 가맹점입니다.
세무신고에 필요한 자료 역시 가맹점 사업자번호 기준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Q. 로열티 비용은 경비로 처리 가능한가요?
A. 네. 본사에서 발행한 세금계산서가 있다면, 경비(사용료 또는 수수료 등)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부가세 환급에도 포함됩니다.
Q. 재료비는 세무상 어떻게 처리하나요?
A. 본사나 지정 협력업체로부터 구입한 재료는 정상적인 세금계산서가 발행된다면 부가세 환급 가능하며,
경비 처리도 가능합니다.
Q. 본사 POS 시스템과 실제 매출이 다를 땐 어떻게 하나요?
A. 반드시 매월 POS 집계 자료와 실제 매출 신고 내역을 비교하고,
불일치 시 원인을 확인한 후 세무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마무리
프랜차이즈 운영자도 ‘사장님’입니다.
매출 관리도, 세금 신고도, 본사가 대신 해주지 않습니다.
물론 본사의 브랜드, 시스템, 메뉴 구성은 큰 장점이지만,
세금과 관련된 부분만큼은 가맹점주의 책임이자 의무라는 점,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 “프랜차이즈는 내 사업이다.”
POS가 자동이라도, 정산서는 본사에서 와도,
세금은 내 이름으로, 내 번호로, 내가 신고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지금부터라도,
본사 시스템만 믿지 말고 내 매출, 내 비용, 내 책임으로 정리해보세요.
그게 진짜 사장님의 회계 마인드입니다.
저희 블로그 "사업자 상식" 카테고리에서 더 많은 정보들을 보실수 있습니다!
매출 4,800만 원 넘으면 어떻게 되나요?” 자영업자 세금 전환 실전 안내서
배민 프로모션비, 세금 신고할 땐 어떻게 처리하나요?쿠폰비용이 내 매출에서 빠지는 이유
“이러다 가산세 맞아요!” 사장님들이 부가세 신고에서 가장 많이 실수하는 5가지
'사업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 4,800만 원 넘으면 어떻게 되나요?” 자영업자 세금 전환 실전 안내서 (0) | 2025.04.09 |
---|---|
배민 프로모션비, 세금 신고할 땐 어떻게 처리하나요?쿠폰비용이 내 매출에서 빠지는 이유 (0) | 2025.04.08 |
4대보험 들면 무조건 손해일까요?” 사장님이 꼭 알아야 할 급여와 세금 상식 (0) | 2025.04.08 |
“이 비용도 환급된다고요?” 자영업자가 꼭 알아야 할 부가세 환급 항목 TOP 5 (1) | 2025.04.08 |
네이버페이 매출, 홈택스에 자동 반영될까요?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