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기 매출이 홈택스보다 많아요"…세금 신고, 이대로 해도 될까요?
본문 바로가기
사업자 상식

포스기 매출이 홈택스보다 많아요"…세금 신고, 이대로 해도 될까요?

by on-k 2025. 4. 7.
반응형

실제 매출보다 적게 신고하면 생기는 일…세무사도 알려준 진짜 기준

 

홈택스 매출보다 포스기 매출이 많을 때, 부가가치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페를 운영하는 사장님들!
홈택스에서 확인되는 매출과 실제 포스기 매출이 다르다는 걸 느껴본 적 있나요? 특히 포스기 매출이 더 많을 때, 이게 과연 신고에 문제가 되는 건 아닐까 걱정이 되죠. 저도 처음에는 홈택스에서 본 매출만 보고 신고를 했었어요. 하지만 나중에 포스기 매출이 더 많다는 걸 알고 나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 많았죠.
그래서 오늘은 부가가치세 신고 시, 포스기 매출과 홈택스 매출의 차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 사례와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매출 신고가 제대로 되는지 걱정할 필요 없이 부가세 신고를 자신 있게 마칠 수 있을 거예요.

 

홈택스 매출 vs 포스기 매출, 왜 차이가 날까요?

카페를 운영하다 보면, 홈택스 매출포스기 매출이 다를 때가 많아요. 그 이유는 바로 매출이 집계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죠.

  • 홈택스 매출은 국세청에 자동으로 집계되는 매출로, 카드매출이나 현금영수증, 세금계산서가 기준이 됩니다.
  • 포스기 매출은 매장 내에서 실제 결제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죠. 이때 현금으로 결제된 금액이나 배달앱 매출은 포스기에서 입력되지만, 홈택스에는 자동으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에서 카페 음료를 주문하고 현금을 지급한 고객이 있었어요. 배달앱 정산서는 들어갔지만, 현금영수증 발급을 잊어버리면 홈택스에 그 매출은 누락될 수 있습니다.
이런 작은 차이가 누적되면 부가세 신고 시 큰 문제가 될 수 있죠.

 

어떤 매출을 기준으로 신고해야 할까요?

이제 실제 매출을 기준으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어요.
저는 한 번, 포스기 매출을 기준으로 신고하지 않고 홈택스 매출만 보고 신고했었어요. 그런데 나중에 세무사에게  “포스기 매출도 반영해야 한다” 는 말을 듣고, 자영업자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현금 매출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홈택스에서 자동으로 집계되는 매출 외에도 포스기, 배달앱실제 매출을 모두 반영해야만 정확한 세금 계산이 가능해져요. 실제 매출을 기준으로 신고하지 않으면, 매출이 부족하게 신고되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건 실제 사례인데, 한 카페 사장님은 매출 누락이 되어서 3개월 뒤 세무조사를 받게 됐어요. 다행히 조정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컸다고 하더라고요.

 

1기 예정 부가가치세 신고, 어떤 자료를 세무사에게 전달해야 할까요?

이제 부가세 신고를 앞두고 세무사에게 제출할 자료를 어떻게 준비할지 궁금하실 거예요.
2025년 1기 예정 부가가치세 신고는 1~3월 기간의 매출과 지출을 기준으로 하죠. 그래서 포스기 매출, 배달앱 정산서, 현금영수증 발급 내역 등을 세무사에게 누락 없이 정확하게 제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매출 관련 필수 자료

  • 포스기 매출 내역: 카드, 현금, 배달앱 매출 포함
  • 배달앱 정산서: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의 매출 내역
  • 현금영수증 발급 내역: 현금 결제한 매출은 반드시 반영
반응형

 

지출 관련 자료

  • 식자재 및 소모품 구매 영수증
  • 임대료 납부 영수증
  • 전기세, 가스비 등 공과금

세무사에게 제공할 때는 매출과 지출을 월별로 구분해서 제출하면, 부가세 신고 누락을 방지할 수 있어요.

 

매출 정리 엑셀은 이렇게 만들어보세요

매출 정리는 엑셀로 정리하는 게 가장 편해요. 아래와 같은 형태로 정리해 보세요.

날짜결제수단매출금액구분 (배달/내점/기타)비고
2025-01-01 카드 100,000 내점 POS 자료 기준
2025-01-02 현금 50,000 내점 현금영수증 발급
2025-01-02 배달 80,000 배달의민족 배달앱 정산서 기준

이렇게 매출을 월별, 결제수단별로 정리하면 세무사에게 전달하기 쉽고, 부가세 신고도 정확하게 할 수 있어요.

 

 

실제 자영업 사장님들의 경험 사례

사례 1. 배달키를 만들어 포스기에 임의 입력한 매출 – A 카페 사장님

“저희는 배달의민족 정산서랑 매출이 안 맞는 거예요. 알고 보니까, 직원이 포스기에 ‘배달 키’ 눌러서 직접 입력한 경우가 있었어요.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에서 13,000원짜리 주문이 들어오면, 포스기에 13,000원을 ‘배달’ 키로 넣는 거예요. 근데 배달앱은 홈택스랑 연동이 안 되잖아요. 그러니까 그 금액이 홈택스에 안 뜨는 거예요. 세무사님이 깜짝 놀라시더라고요.”

 

- 해결: 배달앱 정산서를 기준으로 실제 입금된 금액만 따로 집계해서 신고함. 포스기와 홈택스 간 이중 확인 필요.

 

사례 2. 현금 결제 후 현금영수증 미발행 – B 브런치 카페 사장님

“현금 결제하면 직원이 포스기엔 넣는데, 현금영수증 발급은 종종 빼먹어요. 포스기엔 매출이 있는데 홈택스엔 없는 거죠. 한 번은 3개월치 현금영수증을 몰아서 발급하려다가 오류나서 엄청 고생했어요.”

 

- 해결: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 일괄 발급’ 기능을 사용해 누락분을 수기로 입력. 앞으로는 매일 마감 전 체크리스트로 현금영수증 발급 유무 확인함.

 

사례 3. 포스 매출보다 홈택스 매출이 더 많아서 혼란 – C 도시락 전문점 사장님

“저는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도 다 POS에 들어가는데, 홈택스에는 간편결제 매출이 더 많이 잡히더라고요. 나중에 알고 보니, 배달앱이랑 간편결제 앱에서 직접 국세청으로 자료 보내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니까 포스기보다 홈택스가 더 많을 수도 있대요.”

-  홈택스 매출은 자동 집계 자료로 참고만 하고, 포스기 및 정산서 중심으로 실제 매출 확인 후 직접 정리함.

 

 그래서, 실제 매출 기준은 ‘단일 기준’이 아니라 ‘자료 교차 확인’이 핵심!

🔸 포스기에 임의 입력된 금액
🔸 자동 집계된 홈택스 자료
🔸 배달앱·간편결제 정산서
이 세 가지를 모두 비교해서 누락되거나 중복된 매출을 제거하는 작업이 꼭 필요해요.

실무 팁: 배달앱 정산서 다운로드 방법

배달앱 정산서는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같은 앱에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배달의민족의 경우, ‘배민상회’ 사이트에서 정산내역을 선택해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쿠팡이츠도 판매자센터에서 동일하게 정산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