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연 1.2% 금리 혜택?! 몰라서 못 받는 정부 전세자금대출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상식

최대 연 1.2% 금리 혜택?! 몰라서 못 받는 정부 전세자금대출 총정리

by on-k 2025. 3. 27.
반응형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전세·월세 대출 혜택, 이 글로 정리 끝

 

월세 걱정 끝! 정부지원 전·월세자금대출로 내 집처럼 사는 법

전·월세 보증금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요즘, 주거비 부담은 사회초년생과 서민에게 큰 고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저금리 전·월세자금대출 상품을 다양하게 운영 중입니다. 오늘은 청년, 신혼부부, 서민을 위한 맞춤형 대출 상품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 조건: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주택 조건: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
  • 한도: 최대 1억 원
  • 금리: 연 1.2% (고정금리, 최대 10년)

청년이 무직 상태에서 신용등급이 낮아도 재직 중이라면 대출이 가능

 

2. 청년 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주택 조건: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 월세 70만 원 이하
  • 금리: 월세 지원 1.0~2.0% 내외, 보증금 대출은 최대 연 2.7%

보증금과 월세 둘 다 지원하는 상품으로, 월세 부담을 대폭 줄여줍니다.

 

3. 청년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조건: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한도: 수도권 1억 2천만 원, 기타 지역 8천만 원
  • 금리: 연 1.8% ~ 2.7%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무주택 조건만 충족되면 가능합니다.

 

4. 주거안정 월세대출 (우대형 & 일반형)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취업준비생, 저소득 청년, 근로장려금 수급자 등
  • 조건: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 금리: 우대형은 1.0~2.0%, 일반형은 최대 연 2.7%

대학생, 구직자, 근로자 등 다양한 청년층이 신청 가능합니다.

 

5.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혼인 후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
  • 조건: 부부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 한도: 수도권 최대 2억 원
  • 금리: 연 1.2% ~ 2.9%

신혼부부의 첫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특화상품입니다.

 

은행별 전·월세자금대출 비교 표

대출 상품대상조건금리대출 한도주요 특징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중소기업 재직 청년 (19세~34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연 1.2% (고정금리, 최대 10년) 최대 1억 원 무직 상태에서도 재직 중이면 대출 가능
청년 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무주택 청년 (19세~34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월세 1.0~2.0%, 보증금 대출 최대 2.7% 보증금 최대 5천만 원, 월세 70만 원 이하 월세와 보증금 대출 동시에 지원
청년 버팀목전세자금 무주택 청년 (19세~34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연 1.8% ~ 2.7% 수도권 1억 2천만 원, 기타 지역 8천만 원 무주택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신청 가능
주거안정 월세대출 (우대형 & 일반형) 취업준비생, 저소득 청년, 근로장려금 수급자 등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우대형 1.0~2.0%, 일반형 최대 연 2.7% 월세 지원 및 보증금 지원 청년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맞춤형 대출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신혼부부 및 예비 신혼부부 부부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연 1.2% ~ 2.9% 수도권 최대 2억 원 첫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특화 대출

주의사항: 전·월세자금대출 신청 전 체크 포인트

  • 전세계약서보증금 지급영수증은 반드시 준비
  • 주택임대차 신고제확정일자 등록 필수
  • 건강보험 3개월 이상 납부 이력 필요
  • 계약금 지급 후 신청해야 승인 가능

 

반응형

 


은행별 전, 월세자금 대출상품  비교

1. 우리은행 - 청년 전세자금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한도: 최대 1억 원
  • 금리: 연 1.2% (고정금리)
  • 상환기간: 최대 10년
  • 주요 특징:
    • 무직자도 재직 중이라면 대출 가능
    • 온라인 신청 가능

2. KB국민은행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한도: 수도권 1억 2천만 원, 기타 지역 8천만 원
  • 금리: 연 1.8% ~ 2.7%
  • 상환기간: 최대 10년
  • 주요 특징:
    •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 무주택 조건만 충족하면 바로 신청 가능

3. 신한은행 - 청년 전용 월세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 한도: 보증금 최대 5천만 원, 월세 최대 70만 원
  • 금리: 월세 1.0~2.0%, 보증금 대출 최대 2.7%
  • 상환기간: 최대 10년
  • 주요 특징:
    • 보증금과 월세 두 가지를 동시에 지원
    •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고, 월세도 지원되는 상품

4. 하나은행 - 주거안정 월세대출 (우대형 & 일반형)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취업준비생, 저소득 청년, 근로장려금 수급자 등
  •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금리: 우대형 1.0~2.0%, 일반형 최대 연 2.7%
  • 한도: 보증금 최대 5천만 원, 월세 최대 70만 원
  • 상환기간: 최대 10년
  • 주요 특징:
    • 청년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맞춤형 대출
    • 온라인 신청 가능

5. 농협은행 -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대출 조건 및 특징

  • 대상: 혼인 후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
  • 조건: 부부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 한도: 수도권 최대 2억 원, 기타 지역 1억 원
  • 금리: 연 1.2% ~ 2.9%
  • 상환기간: 최대 10년
  • 주요 특징:
    • 첫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특화상품
    • 무주택 상태에서 신청 가능

은행별 전·월세자금대출 비교 표

은행대출 상품대상조건금리대출 한도상환기간주요 특징
우리은행 청년 전세자금대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중소기업 재직 청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연 1.2% (고정금리) 최대 1억 원 최대 10년 무직자도 재직 중이면 대출 가능, 온라인 신청 가능
KB국민은행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연 1.8% ~ 2.7% 수도권 1억 2천만 원, 기타 지역 8천만 원 최대 10년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무주택 조건만 충족하면 바로 신청 가능
신한은행 청년 전용 월세대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4,500만 원 이하 월세 1.0~2.0%, 보증금 대출 최대 2.7% 보증금 최대 5천만 원, 월세 최대 70만 원 최대 10년 보증금과 월세 두 가지를 동시에 지원
하나은행 주거안정 월세대출 (우대형 & 일반형) 취업준비생, 저소득 청년, 근로장려금 수급자 등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우대형 1.0~2.0%, 일반형 최대 연 2.7% 보증금 최대 5천만 원, 월세 최대 70만 원 최대 10년 청년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맞춤형 대출
농협은행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혼인 후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 부부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연 1.2% ~ 2.9% 수도권 최대 2억 원, 기타 지역 1억 원 최대 10년 첫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특화상품

 

결론

각 은행에서 제공하는 전·월세자금대출 상품은 조건금리, 대출 한도가 다르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은행과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대형, 일반형 등 다양한 형태의 대출 상품이 존재하며, 무주택자, 청년층, 신혼부부 등 다양한 대상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신청을 통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은행별 비교표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대출 상품을 선택하고, 자세한 조건을 다시 한 번 확인한 후 신청하세요!

 

[생활정보(경제,금융,사회)/일반] - 2025년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인상과 새로운 금리 구조: 청년 주택드림 대출도 출시

[생활정보(경제,금융,사회)/청년] - 청년월세지원 나도받을수 있을까? 청년을 위한 정책

728x90
반응형